in Frieze Seoul , 소식 | 18 JUN 24

프리즈 서울 2024: 참여 갤러리 및 세부 프로그램 공개

전 세계 110여 개의 참여 갤러리와 한층 풍성해진 기획 프로그램으로 프리즈 서울이 돌아온다. 이번 아트페어는 갤러리 섹션과 함께 신진 작가 및 고대 미술품을 위한 특별 섹션으로 구성되며, 프리즈 아티스트 어워드(Frieze Artist Award), 프리즈 필름(Frieze Film), 다양한 토크 프로그램, 그리고 도시 전역에서 열리는 프리즈 위크(Frieze Week)의 문화예술 행사로 활기찬 아트페어 개최 주간이 준비되었다.

in Frieze Seoul , 소식 | 18 JUN 24
Join Frieze Become a member to watch this video and gain unlimited access to frieze.com

올해로 3회째를 맞이하는 프리즈 서울(Frieze Seoul)은 오는 9월 4일부터 7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프리즈 서울은 디렉터 패트릭 리(Patrick Lee)의 주도하에 진행되며, 세계 유수의 갤러리 110곳 이상이 참가할 예정이다. 참가 갤러리는 전 세계 30개국에 걸쳐 있으며, 특히 한국에 거점을 둔 갤러리를 중심으로 아시아 지역의 주요 갤러리들이 참여할 예정이다. 프리즈 서울은 한국화랑협회가 운영하는 키아프 서울(Kiaf SEOUL)과 동시에 개최된다.

Kishio Suga, Law of Independent Spaces, 2017. Wood, acrylic, 188 × 161 × 15 cm. Courtesy: Johyun Gallery
키시오 스가(Kishio Suga), 〈Law of Independent Spaces〉, 2017. 나무, 아크릴, 188 × 161 × 15 cm. 사진 제공: 조현 갤러리.

프리즈 서울에서는 처음으로 프리즈 라이브(Frieze Live) 프로그램이 소개된다. 프리즈 라이브는 퍼포먼스 기반의 예술을 집중적으로 소개하며 한 층 풍성해진 기획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이다. 또한, 올해 두 번째 '프리즈 서울 아티스트 어워드(Frieze Seoul Artist Award)'가 발표되며 신진 작가를 소개하는 것은 물론, 주목할 만한 커미션작이 아트페어에서 공개된다. 이 외에도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다채로운 토크 프로그램이 있으며, 큰 관심을 받아 온 프리즈 마스터스(Frieze Masters)와 포커스 아시아(Focus Asia) 섹션도 돌아온다. 프리즈 마스터스에서는 아시아와 그 너머의 시대를 초월하는 세계적인 명작들로 구성되었으며, 포커스 아시아(Focus Asia)에서는 현재 주목해야 할 아시아 기반의 신진 작가들을 집중 소개할 예정이다. 

Andreea Medar, Solarium. The Forever Garden, 2023. Transparent plastic stitch, plexiglass, fluorescent pigment, resin, projection, black UV light, size variable. Courtesy: the artist and Mind Set Art Center
안드리아 메달(Andreea Medar), 〈Solarium. The Forever Garden〉, 2023. 투명 플라스틱 스티치, 플렉시글라스, 형광 안료, 수지, 프로젝션, 검은색 UV 조명, 가변 크기. 사진 제공: 작가 및 Mind Set Art Center.

아트페어가 진행되는 현장 외에도 프리즈 필름(Frieze Film), 프리즈 뮤직(Frieze Music)을 비롯한 다양한 비영리 기관과의 협업이 서울 전역에 걸쳐 확대 진행된다. 그리고 아트페어 주간인 프리즈 위크(Frieze Week)에 맞춰 여러 주요 미술관의 전시가 동기간 진행되며, 서울 주요 갤러리 밀집 지역의 갤러리들이 늦은 시간까지 운영되는 프리즈 나이트를 기대할 수 있다.  

프리즈 서울의 디렉터 패트릭 리(Patrick Lee)는 "2024년 9월, 프리즈 서울로 다시 만나게 되어 기쁩니다. 프리즈 서울과 함께 서울이 아시아의 예술적 거점으로서 그 역할이 커가고 있음을 실감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참가 갤러리들이 더욱 멋진 전시를 선보일 것이며 더 많은 관람객의 참여를 이끌어 갈 예정입니다. 서울시뿐 아니라 부산시, 광주시 정부기관의 지속적인 지원에 감사하며, 각 도시의 비엔날레와의 협력을 시작으로 더 깊은 협력 관계를 이어 나가고자 합니다. 다가오는 9월 프리즈 위크 기간이 고무적이고 기억에 남는 활기찬 한 주가 되기를 고대합니다."라고 전했다. 

Ana Mendieta, Flower Person, Flower Body, 1975/2020. Color photograph, 41 × 51 cm, Edition 7 of 10, plus 3 AP. © The Estate of Ana Mendieta Collection L.L.C. Courtesy: Galerie Lelong & Co.
아나 멘디에타(Ana Mendieta), 〈Flower Person〉, 1975/2020. 《Flower Body》 중. 컬러 사진, 41 × 51 cm. © The Estate of Ana Mendieta Collection L.L.C. 사진 제공: Lelong & Co 갤러리.

갤러리 

페어의 갤러리 섹션은 아시아를 중심으로 전 세계에서 모인 80여 개의 주요 갤러리와 함께 한다. 프리즈 서울에 참가하는 주요 한국 갤러리로는 아라리오갤러리, 갤러리현대, 조현화랑, 국제갤러리, PKM 갤러리가 있다. 또한, DAG(인도), The Drawing Room(필리핀), Kiang Malingue(홍콩), Quynh(베트남), ROH(인도네시아), Taka Ishii Gallery(일본) 등 아시아 지역의 현대 미술을 선도하고 있는 핵심 갤러리들이 참여한다.

Ai Weiwei, Grapes, 2015. 34 wooden stools 1.9 × 2.1 × 2.1 m. © Ai Weiwei. Courtesy the artist and neugerriemschneider, Berlin. Photo: Jens Ziehe, Berlin
아이 웨이웨이(Ai Weiwei), 〈Grapes〉, 2015. 나무 의자 34개, 1.9 × 2.1 × 2.1 m. 사진 제공: 작가 및 neugerriemschneider. 사진: Jens Ziehe.

그 외, 올해도 프리즈 서울을 찾아오는 해외의 저명한 갤러리로는, Canada, Sadie Coles HQ, Gagosian, Hauser & Wirth, High Art, Mariane Ibrahim, Karma, Lisson Gallery, Mendes Wood DM, Neugerriemschneider, Pace Gallery, Thaddaeus Ropac, Sprüth Magers, Michael Werner, White Cube, David Zwirner 등이 있다. 프리즈 서울의 갤러리 섹션에 참가한 갤러리들 중 75%가 지속적으로 프리즈 서울에 참여하고 있다.

Lui Shtini, Node Of Currents, 2022. Oil on aluminum composite panel, 41 × 51 cm (framed). Photo: Etienne Frossard. Courtesy: the artist and LambdaLambdaLambda, Prishtina
뤼 쉬티니(Lui Shtini),  〈Node of Currents〉, 2022. 알루미늄 복합 패널에 유화, 41 × 51 cm (프레임 포함). 사진 제공: 작가 및 LambdaLambdaLambda. 사진: Etienne Frossard.

프리즈 서울에 처음 참가하는 갤러리는, 로스앤젤레스의 Bel Ami, 홍콩의 Exit, 프리슈티나 및 브뤼셀의 LambdaLambdaLambda, 트빌리시의 LC Queisser, 타이베이의 Mind Set Art Center, 멕시코시티의 Proyectos Monclova, 그리고 파리의 Sultana 등이 있다. 

프리즈 마스터스(Frieze Masters) 

지난 2년간 큰 호평을 받아온 네이슨 클레멘-질리스피(Nathan Clements-Gillespie, 프리즈 마스터스 디렉터)가 이끄는 프리즈 마스터스 섹션이 프리즈 서울로 돌아온다. 본 섹션은 미술사를 대표하는 고대 거장들부터 20세기 후반까지의 작품을 선보이는 다양한 갤러리가 참여하며, 시대를 초월하는 작품을 현대적인 시각으로 재조명한다. 컬렉팅 가능한 오브제부터 20세기 후반의 주요 걸작까지 수 천 년의 미술사를 한 자리에서 만나 볼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한다.

JU Ming, Single Whip from ‘Taichi’, 1995. Copper, 40 × 23 × 23 cm. Courtesy: Asia Art Center
주밍(Ju Ming), 〈Single Whip〉, 1995. 《Taichi》 중. 구리, 40 × 23 × 23 cm. 사진 제공: Asia Art Center.

해당 섹션에서도 역시 아시아 지역 갤러리들의 참여가 크게 늘어났다. 프리즈 마스터스 섹션을 통해 첫 프리즈 서울 참가를 알리는 갤러리로는 Asia Art Center, DAG, Liang Gallery, Mizoe Art Gallery, Galerie du Monde, Gallery Shilla 등이 있다. 지난 페어 참가 갤러리인 가나아트, 학고재, 그리고 일본의 Tokyo Gallery + BTAP 등도 올해 다시 만나 볼 수 있다.

또 주목할만한 프리즈 마스터스 섹션의 참가 갤러리로는, 20세기 미국 작품의 딜러인 Castelli Gallery와 ACA Galleries, 채식필사본 스페셜리스트 갤러리인 Les Enluminures, 그리고 고대부터 현대까지 유럽 예술 작품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Robilant+Voena 등이 포함된다.  

The Lubbock Hours (‘Use of Sarum’) with a Missal fragment, c.1400. Illuminated manuscript on parchment with 19 full-page miniatures. Courtesy: Les Enluminures


〈The Lubbock Hours (‘Use of Sarum’) with a Missal fragment〉, 약 1400년경. Illuminated manuscript on parchment with 19 full-page miniatures. 사진 제공: Les Enluminures.

포커스 아시아(Focus Asia)   

Jonghwan Lee, Narcissus VIII, 2024. Engraving and watercolour on panel, graphite, 33 × 50 cm. Courtesy: the artist and Cylinder
이종환, 〈Narcissus IX〉, 2024. 나무 패널에 인그레이빙 및 수채화, 39 × 37 cm. 사진 제공: 작가 및 실린더.

포커스 아시아는 2012년 이후에 설립된 아시아 기반의 갤러리 10개가 아시아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의 개인전을 발표하는 섹션이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조셀리나 크루즈(마닐라 현대미술디자인박물관 디렉터 겸 큐레이터)와 장혜정(두산아트센터 수석 큐레이터)이 본 섹션을 맡아 진행한다.

Taiki Sakpisit, Dark Was the Night, 2024. Two-channel video installation, 4K color and black and white, 5.1 surround sound, edition of 5 plus 2 AP. Courtesy: SAC Gallery
타이키 삿피싯(Taiki Sakpisit), 〈Dark Was the Night〉, 2024. 2채널 4K 비디오 설치, 컬러 및 흑백, 5.1채널 서라운드 사운드. 사진 제공: SAC Gallery.

포커스 아시아 섹션은 프리즈의 기존 지원과 스톤 아일랜드(Stone Island)의 지원금 협력을 통해 젊은 갤러리들의 페어 참가를 돕고 있다. 

포커스 아시아 섹션에 참여하는 갤러리 및 아티스트는 아래와 같다.

  • 에이라운지, 서울 – 조효리  
  • 백아트, 서울, 자카르타 – 박경률  
  • 바라캇 컨템포러리, 서울 – 전소정  
  • Blueprint 12, 뉴델리 – 키슬레이 구나틸라케(Kingsley Gunatillake)  
  • 실린더, 서울 – 이종환  
  • 지갤러리, 서울 – 황수연 
  • Kayokoyuki, 도쿄 – 에블린 타오청 왕(Evelyn Taocheng Wang)  
  • Nova Contemporary, 방콕 – 수파위치 위사펜(Supawich Weesapen) 
  • Parcel, 도쿄 – 루 양(Lu Yang)  
  • SAC Gallery, 방콕 – 타이키 삭피싯(Taiki Sakpisit) 

Sojung Jun, Syncope, 2023. Single channel 4k video, color, stereo sound. Courtesy: the artist and Barakat Contemporary
전소정, 〈싱코피〉, 2023. 단채널 4K 비디오, 컬러, 사운드. 사진 제공: 작가 및 바라캇 컨템퍼러리.

프리즈 위크 서울(Frieze Week Seoul)    

페어의 범위를 도시 전역으로 확장시키는 프리즈 위크는 올해 더욱 다채로운 특별 이벤트, 아티스트 주도적 프로그램 및 파트너 프로젝트로 구성된다. 프로그램의 메인 행사는 서울의 세 주요 갤러리 밀집 지역에서 늦은 밤까지 운영하는 갤러리 나이트 행사다. 9월 3일 화요일에는 한남 나이트, 9월 4일 수요일에는 삼청 나이트, 9월 5일 목요일에는 청담 나이트가 열릴 예정이다.

동기간 서울의 주요 미술관에서는 놓쳐서는 안 될 각종 전시가 개최된다.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리는 《말하는 몸: 아시아 여성 미술가들》, 아모레퍼시픽 미술관에서는 엘름그린 & 드라그셋(Elmgreen & Dragset)의 개인전을, 아트선재센터는 서도호의 개인전을, 리움 미술관에서는 아니카 이(Anicka Yi)의 개인전과 리크리트 티라바니자(Rirkrit Tiravanija)가 기획한 아트 스펙트럼 2024(Art spectrum 2024)를, 호암 미술관에서는 니콜라스 파티(Nicolas Party)의 첫 한국 개인전, 그리고 송은에서는 피노 컬렉션(Pinault Collection) 소장품 전시를 관람할 수 있다.

LG 올레드(LG OLED)는 작년에 이어 올해 역시 프리즈 서울에 공식 헤드라인 파트너로 참가하며, 예술과 기술의 교감을 이어 나간다. 또한 20년 넘게 프리즈의 글로벌 리드 파트너로 활동해 온 도이치뱅크(Deutsche Bank)의 후원을 바탕으로 우수한 예술에 대한 공통된 목표를 이어갈 예정이다. 

더 많은 정보   

프리즈 서울 2024 티켓은 오는 6월 frieze.com에 출시될 예정이다. 

프리즈 뷰잉 룸(Frieze Viewing Room)은 아트페어 개최 일주일 전에 공개되며, 관람객들이 프리즈 서울을 온라인으로 선 관람하고 원격으로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한다. 

프리즈에 대한 더 많은 소식은 프리즈 공식 인스타그램X페이스북 및 frieze.com에서 뉴스레터 구독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헤더 이미지: 에스더 쉬퍼(Esther Schipper), Frieze Seoul 2023. 사진: Lets Studio. 사진 제공: Lets Studio and Frieze.

SHAR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