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eze Week Magazine Seoul 2024

Showing results 1-14 of 14

현재 상파울루 미술관(Museu de Arte de São Paulo) 및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전시하고 있는 미국 로스앤젤레스 기반의 이강승 작가. 그의 설치 작품에 깃든 다층적인 서사와 시간성을 되짚어 본다.

BY Leslie Dick |

서울에서 태어나고 자란 마영신 작가는 『프리즈 위크(Frieze Week)』의 특별 커미션으로 최근작 『아티스트』(2023)에 등장하는 예술계의 마당발이자 암호화폐 투자자 겸 화가인 곽경수의 근황을 전한다.

BY Yeong-shin Ma |

올해 광주 비엔날레의 예술감독을 맡은 니콜라 부리오(Nicolas Bourriaud)가 한국 전통 가극 판소리의 양식을 차용한 실험적인 기획에 대한 이야기를 전한다.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Metropolitan Museum of Art)에서 공개될 이불 작가의 커미션 작품을 지원한 한국계 미국 컬렉터 이미영은 한국 미술의 국제적 위상 상승과 컬렉팅에 대한 자신의 철학을 전한다.

BY Miyoung Lee AND Matthew McLean |

런던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패션 디자이너 레지나 표는 자신이 성장한 서울에서 끊임없는 예술적 영감을 얻는다.

BY Joe Bobowicz |

국제 미술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이미래 작가의 가장 야심 찬 설치 작품이 런던 테이트모던 터바인홀(Turbine Hall at Tate Modern)에서 공개를 앞두고 있는 시점에, 끈적이고 질척이는 내장 같은 그녀의 작업 속 의미를 들춰본다. 

BY Johanna Hedva |

프리즈 서울 2024 기간 동안 엘름그린&드라그셋(Elmgreen & Dragset)와 아니카 이(Anicka Yi)의 개인전을 비롯하여 아시아 여성 미술을 조망하는 대규모 미술관 기획전이 개최된다.  

BY Andy St. Louis |